식이 섬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이 섬유는 인간의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식물 성분으로, 수용성과 불용성으로 구분된다. 식이 섬유는 위장 포만감을 유발하고 배변량을 증가시키며, 혈당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는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발효성 섬유는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단쇄 지방산을 생성하며, 이는 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식이 섬유는 콩류, 과일, 채소, 통곡물 등에 풍부하며, 한국인의 식단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유럽과 미국의 권장 섭취량은 다르며, 꾸준한 섭취는 만성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FDA는 특정 식이 섬유 섭취가 심장 질환과 제2형 당뇨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건강 강조 표시를 승인했다. 식이 섬유의 중요성은 1960년대 이후 연구를 통해 밝혀졌으며, 현재는 건강한 식단의 필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소 - 단백질
단백질은 아미노산 중합체로 생체 구조 유지와 기능에 필수적이며,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고유한 3차원 구조를 형성하여 효소, 구조, 수송, 저장, 수축, 방어, 조절 단백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인체 내에서 건강 유지와 질병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영양소이다. - 영양소 -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의 이차 대사산물로, 꽃 색깔을 내거나 자외선 여과 등의 생리 기능에 관여하며, 다양한 식품에 존재하고 항산화 작용과 건강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인 C6-C3-C6 구조의 화합물이다. - 식이 보충제 - 글루타민
글루타민은 인체 내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으로 단백질 합성, 에너지 생산, 질소 대사 등 생화학적 과정에 필수적이며 암세포 성장과 관련이 있고, 주로 근육에서 생성되며 의약품 및 건강 보조제로 사용되지만 일부 암 환자에게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 식이 보충제 - 단백질 보충제
단백질 보충제는 근력 훈련과 함께 섭취 시 근육량 증가 및 근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과체중인 사람의 체중 및 지방 감소, 노인의 단백질 섭취 요구량 충족에도 기여할 수 있다. - 영양 - 지방산
지방산은 탄소 원자와 카르복실기로 이루어진 카르복실산으로, 탄소 사슬 길이, 이중 결합 유무 및 위치, 기하 이성질체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에너지 저장 및 세포막 구성 성분으로서 생체 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영양 - 물
물은 산소 원자 하나와 수소 원자 두 개로 이루어진 무기 화합물로, 지구 표면의 약 70%를 차지하며 고체, 액체, 기체 상태로 존재하고 생명체의 필수 구성 요소이자 문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물 부족과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식이 섬유 | |
---|---|
개요 | |
학문 분야 | 영양학, 생화학, 생리학, 식품 과학 |
주요 공급원 | 채소, 과일, 곡물, 콩류, 견과류, 씨앗 |
건강 효능 | 혈당 조절, 콜레스테롤 감소, 장 건강 개선, 체중 관리 |
종류 | 수용성 섬유질, 불용성 섬유질 |
정의 | |
정의 | 식물성 식품에서 유래되어 소화 효소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지 않는 부분 |
분류 | |
수용성 섬유질 | 물에 녹아 겔(gel) 형성,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및 혈당 조절에 도움 |
불용성 섬유질 | 물에 녹지 않고 대변 부피 증가, 배변 활동 촉진 및 변비 예방에 도움 |
기능 | |
장 건강 | 장내 미생물의 먹이가 되어 단쇄 지방산 생성 촉진, 장 점막 보호 및 면역력 강화 |
혈당 조절 | 포도당 흡수 속도 늦춰 혈당 수치 급격한 상승 억제, 당뇨병 예방 및 관리 |
콜레스테롤 감소 | 담즙산 배출 촉진, LDL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및 심혈관 질환 예방 |
체중 관리 | 포만감 높여 칼로리 섭취 줄임, 비만 예방 및 관리 |
권장 섭취량 | |
성인 | 하루 25-30g |
어린이 | 나이 + 5g |
섭취 방법 | |
다양한 식품 섭취 | 채소, 과일, 곡물, 콩류, 견과류, 씨앗 등 다양한 식품 통해 섭취 |
가공 식품 피하기 | 가공 과정에서 섬유질 손실 가능성 있으므로, 가능한 한 가공되지 않은 자연 식품 섭취 |
충분한 물 섭취 | 섬유질이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므로, 충분한 물 섭취하여 변비 예방 |
과다 섭취 시 부작용 | |
소화 불량 | 과다 섭취 시 복부 팽만감, 가스, 설사 등 소화 불량 증상 유발 가능 |
영양소 흡수 저해 | 과다 섭취 시 다른 영양소 흡수 방해 가능 |
연구 | |
자일로올리고당 | 자일로올리고당은 프리바이오틱스로 작용하여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 존재 |
크실란 분해 효소 | 인체 장내 미생물은 크실란 분해 효소를 통해 자일란을 대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 존재 |
2. 정의
식이 섬유는 인간의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식물 성분으로 정의된다.[1] 20세기 후반에는 리그닌과 일부 다당류만이 이 정의를 충족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21세기 초에는 저항 전분과 올리고당이 식이 섬유 성분에 포함되었다.[1][16] 식이 섬유에 대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정의는 "인간 소화관의 내인성 분비물에 의해 소화되지 않는 모든 다당류와 리그닌"이다.[17] 현재 대부분의 동물 영양학자들은 "포유류 효소에 의한 분해에 저항하는 식이 성분"이라는 생리학적 정의 또는 "비전분 다당류(NSP)와 리그닌의 합"이라는 화학적 정의를 사용하고 있다.[17]
식이 섬유는 크게 수용성 식이 섬유와 불용성 식이 섬유로 나뉜다. 용해도, 점성, 발효성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3. 분류
영양소 식품 첨가물 공급원/설명 베타글루칸 (일부는 수용성) 셀룰로스 E 460 곡물, 과일, 채소 (일반적으로 모든 식물) 키틴 — 곰팡이, 곤충 및 갑각류의 껍질 헤미셀룰로스 곡물, 겨, 목재, 콩류 헥소스 — 밀, 보리 펜토스 — 호밀, 귀리 리그닌 — 과일의 핵과, 채소 (강낭콩의 섬유), 곡물 잔탄 검 E 415 당 기질에서 크산토모나스-세균을 이용한 생산 저항성 전분 씨앗이나 껍질(RS1형), 과립 전분(RS2형) 또는 노화 전분(RS3형)에 의해 보호된 전분일 수 있음[15] 저항성 전분 — 고아밀로스 옥수수, 보리, 고아밀로스 밀, 콩류, 생 바나나, 조리 및 냉각된 파스타 및 감자[15] 영양소 식품 첨가물 공급원/설명 아라비노자일란 (일종의 헤미셀룰로스) — 차전자피[18] 프룩탄 일부 식물 분류군에서 저장 탄수화물로 전분을 대체하거나 보충함 이눌린 — 다양한 식물에서, 예: 돼지감자, 치커리 등 폴리우로니드 펙틴 E 440 과일 껍질 (주로 사과, 모과), 채소 알긴산 (알긴산염) E 400–E 407 조류 알긴산 나트륨 E 401 알긴산 칼륨 E 402 알긴산 암모늄 E 403 알긴산 칼슘 E 404 프로필렌 글리콜 알긴산염 (PGA) E 405 한천 E 406 카라기난 E 407 홍조류 라피노스 — 콩과 식물 폴리덱스트로스 E 1200 합성 중합체, 약 1 kcal/g
3. 1. 수용성 식이 섬유
가용성 섬유소(soluble dietary fiber)는 물에 녹거나 팽윤되며, 대장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되는 섬유소이다.[26] 펙틴(pectin), 검(gum), 뮤실리지(mucilage) 등이 있다. 모든 식물성 식품에서 다양한 양으로 발견되며, 콩류(완두콩, 대두, 루핀 및 기타 콩), 귀리, 호밀, 치아시드 및 보리, 일부 과일(무화과, 아보카도, 자두, 말린 자두, 베리류, 잘 익은 바나나, 사과, 모과 및 배의 껍질), 특정 채소(브로콜리, 당근, 돼지감자), 뿌리줄기 및 뿌리채소(고구마 및 양파) (이들의 껍질은 불용성 섬유의 공급원이기도 하다), 차전자피 (점액질 수용성 섬유) 및 아마씨, 견과, 특히 아몬드 등에 포함되어 있다.[26]
수용성 섬유 보충제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증상, 예를 들어 설사나 변비 및 복부 불편감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6] 프리바이오틱스 수용성 섬유 제품, 예를 들어 이눌린 또는 올리고당이 포함된 제품은 크론병,[28] 궤양성 대장염,[29][30] 및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31]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 완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장에 대한 후속 항염증 작용을 하는 단쇄 지방산이 생성되기 때문이다.[32][33] 섬유 보충제는 음식 선택을 변경하여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관리하기 위한 전반적인 식단 계획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34]
화학적으로 올리고당으로 정의되며 대부분의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이눌린은 탄수화물, 또는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천연 식물 당인 과당의 중합체인 프룩탄으로서 영양학적 가치를 갖는다. 이눌린은 일반적으로 제조사에서 치커리 뿌리나 돼지감자와 같은 강화된 식물 공급원에서 추출하여 가공식품에 사용한다.[43]
식물성 검 섬유 보충제는 시장에 비교적 새롭게 등장했다. 종종 가루 형태로 판매되며, 뒷맛이 남지 않고 쉽게 녹는다. 예비 임상 시험에서 과민성 대장 증후군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51] 식물성 검 섬유의 예로는 구아검과 아라비아 검이 있다.
수용성 식이 섬유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해조류에 포함된 수용성 식이 섬유는 다음과 같다:3. 2. 불용성 식이 섬유
불용성 식이 섬유는 물에 녹지 않으며, 대장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대사되지 않는 섬유소이다.[25] 셀룰로오스, 일부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등이 이에 속한다.[25]
불용성 식이 섬유의 공급원은 다음과 같다.[25]
불용성 섬유 중 하나인 저항 전분은 아밀로스 함량이 높은 옥수수에서 추출하며, 보충제로 사용되어 인슐린 저항성과 혈당 조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35][36][37] 또한 규칙적인 배변 활동을 촉진하고[38] 설사 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39][40][41] 예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저항성 옥수수 전분은 궤양성 대장염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42]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은 식물의 세포벽의 주요 구성 요소로, 채소 등 식물성 식품에서 많이 얻을 수 있다. 일본인은 평균 15g/일의 식이 섬유를 섭취하고 있으며, 그중 12g은 불용성 식이 섬유이며, 그 대부분이 셀룰로스로 추정된다.[128] 키틴, 키토산은 갑각류의 껍질이나 균류의 세포벽 등의 주성분이다.[128]
3. 3. 점성/비점성 식이 섬유
점성 식이 섬유는 용해되어 겔 상태가 되어 영양 흡수를 늦춘다.[129] 점성 식이 섬유에는 펙틴, 베타글루칸(β-글루칸), 구아검, 차전자피 등이 있다. 비점성 식이 섬유에는 셀룰로스와 리그닌 등이 있다.
3. 4. 발효성/비발효성 식이 섬유
곡물 및 곡물 협회(Cereals & Grains Association)는 식이 섬유를 "사람의 소장에서 소화 및 흡수에 저항하며 대장에서 완전하거나 부분적인 발효를 거치는 식물의 식용 부분 또는 유사한 탄수화물"로 정의한다.[103]
식이 섬유는 대장 내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되어 단쇄 지방산(SCFA)과 가스를 생성한다.[129] 발효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단쇄 지방산에는 부티르산, 아세트산(에탄산), 프로피온산 및 발레르산이 있으며, 이들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104]
발효성 식이 섬유에는 펙틴, 베타글루칸, 구아검, 차전자피, 이눌린, 프락토올리고당 등이 있다. 비발효성 식이 섬유에는 셀룰로스, 리그닌이 있다.[105]
4. 기능
식이 섬유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0]
- 위장 포만감 유발: 음식의 부피를 늘려 포만감을 제공하여 식욕을 줄일 수 있다(불용성 및 수용성 섬유질 모두).[1]
- 배변량 증가: 불용성 식이 섬유는 변의 부피를 늘려 변비를 완화한다.[1]
- 음식물의 장내 통과 속도 정상화: 불용성 식이 섬유는 음식물이 소화 시스템을 통과하는 속도를 높여 규칙적인 배변을 촉진한다.[1]
- 소화 속도 조절: 점성 다당류를 탄수화물 식사에 첨가하면 식후 혈당 농도를 줄일 수 있다.[68] 밀과 옥수수는 귀리가 아닌 포도당 흡수를 변경하며, 속도는 입자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구아검을 사용하면 흡수 속도가 감소하는 것은 점성 용액이 장 수축으로 생성된 대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일 수 있다.
- 영양소 흡수율 저하: 식이 섬유는 소장 통과속도를 빠르게 하여 영양소 흡수율을 저하시켜 당뇨환자에 권장된다.[1][76]
- 대장의 발효를 위한 영양원(가용성 섬유소): 장내 pH 균형을 맞추고[81] 단쇄 지방산의 장 발효 생성을 자극한다.[1]
-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가용성 섬유소):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1]
- 대장암 예방 효과: 세계 암 연구 기금과 미국 암 연구 협회는 7000개 이상의 연구를 분석하여 결장과 직장의 암 예방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보고했다.[136]
- 게실염 예방 효과
- 변을 부드럽게 함: 불용성 식이 섬유는 변의 부피를 늘려 변비를 완화한다.[1]
- 지질 이상증 예방
- 비만 예방: 수용성 식이 섬유는 위에서 팽윤하여 포만감을 주고, 불용성 식이 섬유는 음식물의 씹는 횟수를 증가시켜 식괴를 크게 함으로써 비만을 예방한다.
- 동맥 경화 예방: 지질 대사를 조절한다.
- 장내 비타민 B군 합성
- 식품 중 독성 물질 배제 촉진
- 장내 부패 방지, 면역 강화, 장내 감염 방어, 장관 운동 촉진
- 칼슘 흡수 방해[132]
1987년 리드(N.W. Read)와 팀스(J.M. Timms)는 식이 섬유에 의해 중증 변비가 경감되는 경우는 적다고 서술하였다.[135]
2003년, 세계 보건 기구(WHO)와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는 비만, 2형 당뇨병, 심장병의 위험을 낮춘다고 보고하고, 채소, 과일, 현미와 같은 통곡물에서의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134]
하버드 대학교 공중 보건학부는 식이 섬유 섭취는 대장암 위험 감소 효과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137]
식이 섬유는 미네랄 및 비타민과 결합하지 않으므로 흡수를 제한하지 않으며, 오히려 발효성 섬유질 공급원이 미네랄, 특히 칼슘의 흡수를 향상시킨다는 증거가 있다.[82][83][84]
; 비만 방지
체질량 지수(BMI)가 높은 군일수록 식이 섬유 섭취가 적었다는 결과가 있다.[138]
;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
수용성 식이 섬유는 음식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 콜레스테롤의 배설 촉진, 담즙산의 재흡수 억제에 의한 배설 촉진 등이 이루어진다.
; 혈당 상승 억제
수용성 식이 섬유는 위에서 소장으로의 음식물 이동을 완만하게 하고, 포도당의 흡수를 완만하게 하여 혈당 상승을 억제한다.[139]
- 펙틴을 식사와 함께 섭취하면 혈당 상승이 억제되고 인슐린 분비도 억제된다[141][142]. 펙틴은 사탕무, 해바라기, 아마유자(오렌지), 자몽, 라임, 레몬, 사과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 글루코만난은 곤약에 많이 포함된 수용성 식이 섬유이며, 글루코만난과 포도당을 동시에 섭취한 경우 혈당 상승 억제 효과가 있었다.[142]
- 알긴산 나트륨은 갈조류에 포함된 다당류의 일종으로, 수용성 식이 섬유의 점성에 의해 혈당 상승 억제 효과가 있다.[143]
- 이눌린은 돼지감자, 달리아, 우엉, 엉겅퀴, 민들레, 마, 아티초크, 치커리, 칡, 양파, 마늘, 용설란)은 수용성 식이 섬유인 고농도 이눌린을 포함한다.
- 귀리의 수용성 식이 섬유 대부분은 β글루칸이다. 귀리 유래의 β글루칸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상승 억제, 혈당 상승 억제, 혈압 강하, 배변 촉진, 면역 기능 조절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147]
- 보리에는 풍부한 수용성 식이 섬유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은 β글루칸이다. 보리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상승 억제, 혈당 상승 억제, BMI 값 감소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147]
- 수용성 섬유인 구아검을 섭취하면 혈당 상승이 억제되고, 인슐린 분비도 억제된다.[141][142]
; 수소 가스 생산과 항산화 작용
난소화성 식이 섬유 섭취와 장내 세균에 의해 호흡이나 방귀로의 가스 생산과 배출이 높아진다. 생산되는 가스는 수소가 많다.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인 아카보스 복용이 심혈관 사고를 억제할 가능성이 있는데, 증가한 수소의 항산화 작용에 의해 심혈관 사고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이 예상되고 있다.[149]
; 배변 촉진
불용성 식이 섬유는 결장과 직장에서 변 용적을 증대시켜 배변을 촉진한다.
; 다이옥신류의 배출
다이옥신류를 흡착하여 배설하는 효과가 있어, 체내로부터의 배출 속도를 높여, 다이옥신류의 건강에 대한 영향을 막을 수 있다고 시사되고 있다.[151]
5. 장내 활동
식이 섬유는 글리코시드 결합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효소가 없어 인간의 소화 기관에서 분해되지 않고 대장에 도달한다. 식이 섬유는 부피 증가, 점성, 발효의 세 가지 주요 기여를 통해 장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52]
발효성 섬유는 대장 내 미생물에 의해 소비되어 변의 부피를 약간 증가시키고 단쇄 지방산을 생성한다.[52] 저항성 전분, 이눌린,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은 완전히 발효되는 식이 섬유이다.[52] 이러한 발효는 대장 내 많은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53] 소화 기능, 지질 및 포도당 대사, 면역 체계, 염증 등에 영향을 미친다.[54]
식이 섬유의 발효는 가스(주로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와 단쇄 지방산을 생성한다.[52]
; 단쇄 지방산 (Short-Chain Fatty Acids, SCFA)
발효성 식이 섬유가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될 때 생성되는 주요 산물은 단쇄 지방산(SCFA)이다.[17] 단쇄 지방산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등이 있으며,[104] 거의 모든 단쇄 지방산은 결장에서 흡수된다.[72]
단쇄 지방산은 결장 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104] 혈당 및 지질 대사 조절, 장 점막 보호, 면역 기능 강화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107][108]
주요 단쇄 지방산에는 부티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아세테이트가 있다. 부티레이트는 결장 세포의 주요 에너지원이고, 프로피오네이트는 간에서 흡수되며, 아세테이트는 말초 조직에서 대사되기 위해 말초 순환계로 들어간다.
단쇄 지방산(SCFA)은 건강을 증진하는 수많은 생리적 과정에 관여한다.[104]
- 췌장의 인슐린 분비 및 간의 글리코겐 분해 조절을 통해 혈중 포도당 수치를 안정시킨다.
- 장 점막에서 포도당 수송체의 유전자 발현을 자극하여 포도당 흡수를 조절한다.[106]
-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고 죽상 동맥 경화증을 유발하는 LDL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혈중 수치를 감소시킨다.
- 결장 pH를 낮춰(즉, 결장의 산성도를 높임) 점막을 결장 폴립 형성으로부터 보호하고 식이 미네랄 흡수를 증가시킨다.
- T 도우미 세포, 항체, 백혈구, 사이토카인, 림프 메커니즘의 생성을 자극하여 면역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결장 점막층의 장벽 특성을 개선하여 염증 및 부착 자극 물질을 억제하고 면역 기능에 기여한다.
결장 점막에 흡수된 SCFA는 결장벽을 통과하여 문맥 순환(간에 공급)으로 들어가고, 간은 이를 일반적인 혈액 순환계로 운반한다.
5. 1. 단쇄 지방산 (Short-Chain Fatty Acids, SCFA)
발효성 식이 섬유가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될 때 생성되는 주요 산물은 단쇄 지방산(SCFA)이다.[17] 단쇄 지방산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등이 있으며,[104] 거의 모든 단쇄 지방산은 결장에서 흡수된다.[72]단쇄 지방산은 결장 세포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104] 혈당 및 지질 대사 조절, 장 점막 보호, 면역 기능 강화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107][108]
주요 단쇄 지방산에는 부티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아세테이트가 있다. 부티레이트는 결장 세포의 주요 에너지원이고, 프로피오네이트는 간에서 흡수되며, 아세테이트는 말초 조직에서 대사되기 위해 말초 순환계로 들어간다.
단쇄 지방산(SCFA)은 건강을 증진하는 수많은 생리적 과정에 관여한다.[104]
- 췌장의 인슐린 분비 및 간의 글리코겐 분해 조절을 통해 혈중 포도당 수치를 안정시킨다.
- 장 점막에서 포도당 수송체의 유전자 발현을 자극하여 포도당 흡수를 조절한다.[106]
-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고 죽상 동맥 경화증을 유발하는 LDL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혈중 수치를 감소시킨다.
- 결장 pH를 낮춰(즉, 결장의 산성도를 높임) 점막을 결장 폴립 형성으로부터 보호하고 식이 미네랄 흡수를 증가시킨다.
- T 도우미 세포, 항체, 백혈구, 사이토카인, 림프 메커니즘의 생성을 자극하여 면역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결장 점막층의 장벽 특성을 개선하여 염증 및 부착 자극 물질을 억제하고 면역 기능에 기여한다.
결장 점막에 흡수된 SCFA는 결장벽을 통과하여 문맥 순환 (간에 공급)으로 들어가고, 간은 이를 일반적인 혈액 순환계로 운반한다.
6. 콜레스테롤 대사
식이 섬유는 섭취, 소화, 흡수 및 배설의 각 단계에 작용하여 콜레스테롤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73] 부피 효과를 통해 음식의 칼로리 에너지에 영향을 주고, 위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며, 흡수에 대한 혈당 지수 유형의 작용을 한다. 회장에서 담즙산 흡수를 둔화시켜 담즙산이 맹장으로 빠져나가게 하고, 맹장에서의 담즙산 대사 변화를 일으키거나 증가시킨다.[73] 또한, 흡수된 단쇄 지방산(특히 프로피온산)에 의한 간접적인 영향으로, 섬유질 발효를 통해 간에서 콜레스테롤 대사에 영향을 미친다.[73] 맹장에서 담즙산이 섬유질 또는 박테리아에 결합하여 장간 순환에서 대변 손실이 증가한다.[73]
일부 섬유질은 회장에서 담즙산의 재흡수를 줄여 대장에 도달하는 담즙산과 지방의 양과 유형을 줄인다. 회장에서 담즙산의 재흡수 감소는 다음과 같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74] 높은 내강 점성 또는 식이 섬유에 결합하여 담즙산이 회장의 내강 내에 갇힐 수 있다.[74] 섬유질의 리그닌은 담즙산을 흡착하지만, 담즙산의 비결합 형태가 결합 형태보다 더 많이 흡착된다. 담즙산이 주로 흡수되는 회장에서 담즙산은 주로 결합되어 있다.[74] 담즙산의 장간 순환이 변경될 수 있으며, 담즙산의 맹장으로의 흐름이 증가하여 탈결합 및 7알파-탈수산화된다.[74] 이러한 수용성 형태의 담즙산(예: 데옥시콜산 및 리토콜산)은 식이 섬유에 흡착되어 스테롤의 대변 손실이 증가하며, 이는 섬유질의 양과 유형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74]
일부 섬유질(예: 펙틴)이 박테리아에 의해 소화됨에 따라 회장의 박테리아 덩어리와 활성이 증가한다.[74] 박테리아 덩어리가 증가하고 맹장 박테리아 활성이 증가한다.[74] 담즙산의 장 손실은 콜레스테롤로부터 담즙산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차례로 체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74] 스테롤 대사에 가장 효과적인 섬유질(예: 펙틴)은 대장에서 발효된다.[74] 따라서 체내 콜레스테롤 감소가 대장에서 이 발효된 섬유질에 흡착되기 때문일 가능성은 낮다. 담즙산 박테리아 대사의 최종 생성물에 변화가 있거나, 단쇄 지방산이 방출되어 대장에서 흡수되어 문맥을 통해 간으로 돌아가 콜레스테롤의 합성 또는 담즙산으로의 분해를 조절할 수 있다.[75]
섬유질이 콜레스테롤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메커니즘은 초기 탈결합 및 탈수산화 후 대장에서 박테리아가 담즙산에 결합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격리된 담즙산은 대변으로 배설된다.[75] 발효성 섬유질(예: 펙틴)은 박테리아 성장을 위한 매체를 제공함으로써 대장의 박테리아 덩어리를 증가시킨다.[75] 다른 섬유질(예: 아라비아 고무)은 안정제 역할을 하며, 대변 담즙산 배설을 증가시키지 않고 혈청 콜레스테롤을 유의하게 감소시킨다.[75]
7. 대변 무게
식이 섬유는 대변 무게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대변은 물, 박테리아, 지질, 스테롤, 점액 및 섬유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75%가 물로 이루어져 있다. 건조 중량에서는 박테리아가 큰 영향을 미치며, 나머지는 발효되지 않은 섬유질과 배설된 화합물이다.
24시간 동안 배설량은 20~280g 사이로 다양하며, 개인에 따라 배출되는 대변의 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진다. 물은 결장에서 자유수, 세균 덩어리에 포함된 물, 섬유질에 결합된 물의 세 가지 방식으로 분포된다.
대변 무게는 발효 후 잔류 식이 섬유에 의한 물 보유량, 세균 덩어리, 세균 발효 산물의 삼투압 효과에 의해 결정된다.
8. 식이 섬유 섭취의 효과
식이 섬유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10] 불용성 및 수용성 섬유질은 칼로리 섭취를 늘리지 않으면서 음식의 부피를 늘려 포만감을 주고 식욕을 감소시킨다. 수용성 섬유질은 물을 끌어당겨 점성 젤을 형성하여 위 배출을 늦추고, 장 통과 시간을 단축시키며, 탄수화물을 효소로부터 보호하고 포도당 흡수를 지연시켜 혈당 변동을 낮춘다.[1][76] 또한,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인다.[1]
식이 섬유는 혈압을 낮추고, 모든 원인 및 심혈관 사망률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77][78] 자손의 심혈관 질환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79] 불용성 섬유질은 혈당을 조절하여 당뇨병 환자의 포도당 및 인슐린 수치를 낮추고 당뇨병 위험을 낮춘다.[1][80] 또한, 음식물이 소화 시스템을 통과하는 속도를 높여 규칙적인 배변을 촉진하고,[1] 변의 부피를 늘려 변비를 완화한다.[1]
수용성 식이 섬유는 장내 pH 균형을 맞추고[81] 단쇄 지방산의 장 발효 생성을 자극하며,[1] 발효성 섬유질은 미네랄, 특히 칼슘의 흡수를 향상시킨다.[82][83][84] 잘 익은 과일에 포함된 수용성 식이 섬유는 식후 혈당의 급격한 상승[130][131]과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이 보고되었다. 채소, 곡류, 콩류 등에 포함된 불용성 식이 섬유는 대장의 연동 운동을 촉진한다.
식이 섬유의 효용으로 지질 이상증, 변비, 비만, 당뇨병 예방, 지질 대사를 조절하여 동맥 경화 예방, 대장암 예방, 기타 장내 세균에 의한 비타민 B군 합성, 식품 중의 독성 물질의 배제 촉진 등이 확인되었다. 장수 지역 주민의 고령자의 식이 섬유 섭취량과 동일인의 장내 세균총을 분석한 결과, 식이 섬유 섭취량이 많으면 유용균(비피더스균 등)이 우세하고 유해균(웰시균 등)은 억제되는 것이 실증되었다.
소화관 내 필수 영양소인 칼슘과 결합하여 장관에서의 흡수를 방해하는 작용도 한다.[132]
일본에서는 특정 보건용 식품(토쿠호) 표시가 인가되어 있다.[133]
2003년, 세계 보건 기구(WHO)와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는 식이 섬유가 비만, 2형 당뇨병, 심장병의 위험을 낮춘다고 보고하고, 채소, 과일, 현미와 같은 통곡물에서의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134]
1987년 리드(N.W. Read)와 팀스(J.M. Timms)는 식이 섬유에 의해 중증 변비가 경감되는 경우는 적다고 서술하였다.[135]
2007년 11월 1일, 세계 암 연구 기금과 미국 암 연구 협회는 식이 섬유가 결장과 직장의 암 예방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136]
식이 섬유 섭취는 심근 경색 발병 및 사망, 당뇨병 발병과 음의 관련성을 보이며, 혈압 및 혈청 LDL 콜레스테롤과의 사이에서도 음의 관련성이 시사되고 있다. 비만과의 관련성을 나타낸 역학 연구도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대장암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최근의 역학 연구 결과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114] 하버드 대학교 공중 보건학부는 식이 섬유가 대장암 위험 감소 효과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137]
비만 방지: 수용성 식이 섬유는 위에서 팽윤하여 포만감을 주고, 불용성 식이 섬유는 음식물의 씹는 횟수를 증가시켜 타액과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효과를 나타낸다. 식사의 GI 지수가 높은 군일수록 체질량 지수(BMI)가 높아지고, 식이 섬유 섭취가 많은 군일수록 BMI 값이 낮은 결과가 보고되었다.[138]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 수용성 식이 섬유는 음식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 콜레스테롤의 배설 촉진, 담즙산의 재흡수 억제에 의한 배설 촉진 등이 이루어진다.
혈당 상승 억제: 수용성 식이 섬유는 위에서 소장으로의 음식물 이동을 완만하게 하고, 포도당의 흡수를 완만하게 하여 혈당 상승을 억제한다.[139] 잘 익은 과일 등에 포함된 수용성 식이 섬유(난소화성 덱스트린)는 식후 혈당의 급격한 상승 억제[130][140] 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펙틴을 식사와 함께 섭취하면 혈당 상승이 억제되고 인슐린 분비도 억제된다.[141][142] 글루코만난일본어은 곤약에 많이 포함된 수용성 식이 섬유이며, 혈당 상승 억제 효과가 있다.[142] 알긴산 나트륨일본어은 주로 갈조류에 포함된 다당류의 일종으로, 혈당 상승 억제 효과가 있다.[143] 밥에 한천을 첨가하여 섭취한 결과, 식후 최대 혈당이 저하하고 GI 지수도 감소가 인정되었다.[144] 수용성 식이 섬유인 이눌린은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145] 항산화 능력의 증가가 인정되었다.[146] 귀리일본어의 수용성 식이 섬유 대부분은 β글루칸이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상승 억제 작용, 혈당 상승 억제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147] 보리일본어에는 풍부한 수용성 식이 섬유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은 β글루칸이다. 보리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상승 억제 작용, 혈당 상승 억제 작용, BMI 값 감소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147] 수용성 섬유인 구아검을 섭취하면 혈당 상승이 억제되고, 인슐린 분비도 억제된다.[141][142]
수소 가스 생산과 항산화 작용: 난소화성인 식이 섬유와 유당 섭취와 장내 세균에 의해 호흡이나 방귀로의 가스 생산과 배출이 높아진다. 생산되는 가스는 수소와 메탄이 많지만, 메탄은 개인차가 있다.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인 당뇨병 치료제인 아카보스를 복용하면 수소 가스 증가가 인정되고, 이 증가한 수소의 항산화 작용에 의해 심혈관 사고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이 예상되고 있다.[149] 장내 세균은 난소화성인 식이 섬유 등으로부터 수소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 수소는 간의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150]
배변 촉진: 불용성 식이 섬유는 변 용적을 증대시켜 배변을 촉진한다.
다이옥신류의 배출: 다이옥신류를 흡착하여 배설하는 효과가 있어, 체내로부터의 배출 속도를 높여 건강에 대한 영향을 막을 수 있다고 시사되고 있다.[151]
9. 연구 현황
고섬유질 식단의 잠재적인 건강 효과에 대한 예비 임상 연구가 진행 중이며, 여기에는 여러 암, 심혈관 질환, 제2형 당뇨병의 위험 감소와 관련된 연구가 포함된다.[10][3]
고섬유질 섭취는 유방암, 결장암의 위험 감소 및 사망률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5][86][87][88]
10. 식이 섬유가 풍부한 식품
식이 섬유는 콩과 식물(강낭콩, 콩, 완두콩, 팥 등), 과일류(레몬껍질, 포도, 배, 사과, 감, 키위, 바나나, 자두, 오렌지, 복숭아, 파인애플 등), 채소류(브로콜리, 당근, 양파, 양상추 등), 뿌리채소 (고구마, 우엉, 무 등), 해조류(미역, 다시마 등), 버섯류, 견과류 (아몬드, 땅콩, 호두 등), 통곡물 또는 전곡(현미, 보리, 귀리, 통밀, 호밀 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24]
일반적인 식품에 포함된 섬유질의 양은 다음 표와 같다.
식품군 | 1회 제공량 | 1회 제공량당 섬유질량 |
---|---|---|
과일 | 120 mL (0.5 컵) | 1.1 g |
짙은 녹색 채소 | 120 mL (0.5 컵) | 6.4 g |
오렌지색 채소 | 120 mL (0.5 컵) | 2.1 g |
조리된 건조 콩(콩류) | 120 mL (0.5 컵) | 8.0 g |
전분 채소 | 120 mL (0.5 컵) | 1.7 g |
기타 채소 | 120 mL (0.5 컵) | 1.1 g |
통곡물 | 28 g (1 oz) | 2.4 g |
육류 | 28 g (1 oz) | 0.1 g |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과 같은 의료 당국은 가공 식품과 인공 감미료가 풍부하고 채소와 콩류의 섭취가 최소화된 표준 미국 식단에 섬유질이 풍부한 제품을 추가할 것을 권장한다.
자두와 말린 자두는 즙이 많은 과육을 덮고 있는 두꺼운 껍질을 가지고 있는데, 껍질은 불용성 섬유의 공급원인 반면, 수용성 섬유는 과육에 들어 있다. 포도 역시 상당한 양의 섬유를 함유하고 있다.[24]
모든 식물성 식품에는 다양한 양의 식이 섬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콩류(완두콩, 대두, 루핀 및 기타 콩), 귀리, 호밀, 치아시드, 보리, 일부 과일(무화과, 아보카도, 자두, 말린 자두, 베리류, 잘 익은 바나나, 사과, 모과, 배의 껍질), 특정 채소(브로콜리, 당근, 돼지감자), 뿌리줄기 및 뿌리채소(고구마, 양파-껍질은 불용성 섬유 공급원), 차전자피(점액질 수용성 섬유), 아마씨, 견과(특히, 아몬드) 등에 많이 들어있다.
불용성 섬유의 공급원은 통곡물, 밀과 옥수수 겨, 콩, 완두콩과 같은 콩류, 견과류와 씨앗, 감자 껍질, 리그난, 강낭콩, 콜리플라워, 주키니, 샐러리, 노팔과 같은 채소, 아보카도와 덜 익은 바나나를 포함한 일부 과일, 키위, 포도, 토마토를 포함한 일부 과일의 껍질[25] 등이다.
다음은 주요 식품 100g당 식이 섬유 함량을 나타낸 표이다.[152]
항목 | 상태 | 총 식이 섬유 | 수용성 식이 섬유 | 불용성 식이 섬유 |
---|---|---|---|---|
다시마[127] | 건조 | 68.9 g | 9.0 g | 59.9 g |
톳[127] | 건조 | 60.7 g | 22.5 g | 38.2 g |
목이버섯 | 건조 | 57.4 g | 0 g | 57.4 g |
다시마[127] | 건조 | 36.5 g | 7.4 g | 29.1 g |
박고지 | 건조 | 30.1 g | 6.8 g | 23.3 g |
김(방사무늬김[127]) | 건조 | 26.4 g | 10.8 g | 15.6 g |
락교 | 생 | 21.0 g | 18.6 g | 2.4 g |
무말랭이 | 건조 | 20.7 g | 3.6 g | 17.1 g |
팥 | 건조 | 17.8 g | 1.2 g | 16.6 g |
대두 | 건조 | 17.1 g | 1.8 g | 15.3 g |
곶감 | 건조 | 14.0 g | 1.3 g | 12.7 g |
실파 | 생 | 11.4 g | 9.1 g | 2.3 g |
밀 | 건조 | 10.8 g | 0.7 g | 10.1 g |
아몬드 | 건조 | 10.1 g | 0.8 g | 9.3 g |
비지 | 생 | 9.7 g | 0.3 g | 9.4 g |
보리 | 건조 | 9.6 g | 6.0 g | 3.6 g |
귀리(귀리, 오트밀) | 건조 | 9.4 g | 3.2 g | 6.2 g |
팝콘 | 건조 | 9.3 g | 0.2 g | 9.1 g |
실낫토 | 생 | 6.7 g | 2.3 g | 4.4 g |
모로헤이야 | 생 | 5.9 g | 1.3 g | 4.6 g |
우엉 | 생 | 5.7 g | 2.3 g | 3.4 g |
오크라 | 생 | 5.0 g | 1.4 g | 3.6 g |
메밀 | 건면 | 4.3 g | 0.8 g | 3.5 g |
표고버섯 | 생 | 3.5 g | 0.5 g | 3.0 g |
현미 | 건조 | 3 g | 0.7 g | 2.3 g |
호박 | 생 | 2.8 g | 0.7 g | 2.1 g |
죽순 | 생 | 2.8 g | 0.3 g | 2.5 g |
당근 | 생, 껍질 제거 | 2.5 g | 0.7 g | 1.8 g |
고구마 | 생 | 2.3 g | 0.5 g | 1.8 g |
양배추 | 생 | 1.8 g | 0.4 g | 1.4 g |
양파 | 생 | 1.6 g | 0.6 g | 1.0 g |
사과 | 생 | 1.5 g | 0.3 g | 1.2 g |
감자 | 생 | 1.3 g | 0.6 g | 0.7 g |
무 | 생 | 1.3 g | 0.5 g | 0.8 g |
백미 | 건조 | 0.5 g | 0 g | 0.5 g |
산지, 수확 시기, 품종 등에 따라 실제 함유량은 달라질 수 있다.
11. 한국인의 식이 섬유 섭취
한국인은 전통적으로 채소와 곡물 위주의 식단을 통해 식이 섬유를 충분히 섭취해 왔다. 하지만 최근 식습관이 서구화되면서 식이 섬유 섭취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해조류, 통곡물, 콩 등에는 식이 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152] 주요 식품 100g당 식이 섬유 함량은 다음과 같다.[152]
12. 섭취 권장량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은 성인의 정상적인 배변 활동을 위해 하루 25g의 식이 섬유 섭취가 적절하다고 권고한다.[89][90] 미국 국립 의학원(NAM)은 19~50세 성인 남성은 하루 38g, 51세 이상 남성은 30g, 19~50세 여성은 하루 25g, 51세 이상 여성은 21g을 섭취해야 한다고 권장한다.[10][91][2] 이는 곡물 섬유를 많이 섭취한 사람들이 관상 동맥 심장 질환 위험이 낮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10][91][2]
미국 영양 및 식이요법 학회(AND)는 NAM의 권장 사항을 따르며,[92] 1995년 연구에서는 어린이의 섭취량을 (나이 + 5)g/일로 권장하기도 했다.[93][94]
평균적으로 북미인들은 건강에 권장되는 식이 섬유 섭취량의 50% 미만을 섭취하며, 젊은이들의 경우 20%까지 낮아질 수 있다. 이는 비만 문제의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95]
식이 섬유의 꾸준한 섭취는 만성 질환 위험을 낮추고,[105][99][100] 변비 예방에 도움을 준다.[101] 대변 부피를 늘리고 대장 통과 시간을 줄이며,[1] 인간 위장관 건강을 개선하고, 식사 후 포도당 내성 및 인슐린 반응을 개선하며,[1] 결장 발효 및 단쇄 지방산 생산을 증가시킨다.[1] 또한 결장 미생물총을 긍정적으로 조절하고,[1] 고지혈증, 고혈압 및 기타 관상 동맥 심장 질환 위험 요소를 감소시키며,[1] 포만감을 증가시켜 체중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1]
2018년, 영국 영양 재단(British Nutrition Foundation)은 건강한 성인의 일일 권장 섭취량을 30g으로 늘렸다.[102][1]
13. 건강 강조 표시 (FDA 승인)
미국 FDA는 1회 제공량당 1.7g의 차전자피 가용성 섬유 또는 0.75g의 귀리나 보리 베타글루칸 가용성 섬유를 함유한 식품에 대해, 정기적인 섭취가 심장 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을 허용한다.[109] FDA 규정 21 CFR 101.81에 따르면, 관상 동맥 심장 질환 위험 감소와 관련된 가용성 섬유의 일일 식이 섭취량은 통귀리 또는 보리(혹은 이 둘의 조합)에서 하루 3g 이상의 베타글루칸 가용성 섬유, 차전자피에서 하루 7g 이상의 가용성 섬유이다.[110] 곡물, 과일, 채소를 섭취하여 얻는 가용성 섬유는 일부 유형의 암과 심장 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다른 건강 강조 표시에도 포함된다.[109]
2016년 12월, FDA는 아밀로스가 높은 옥수수에서 추출한 저항성 전분을 섭취하면 인슐린 민감성 증가 효과로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자격 있는 건강 강조 표시를 승인했다. 허용된 주장은 다음과 같다: "아밀로스가 높은 옥수수 저항성 전분은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FDA는 이 주장에 대한 과학적 증거가 제한적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111] 2018년, FDA는 다양한 유형의 식이 섬유를 분류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분리되거나 합성된 식이 섬유의 라벨링에 대한 추가 지침을 발표했다.[112]
14. 역사
1918년, 의사인 존 하비 켈로그는 『자가 중독』[116]이라는 저서를 출판하여, 장내 세균이 미소화 단백질로부터 만드는 독이 건강을 해친다는 자가 중독설을 바탕으로 식이 섬유가 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이유로 채식을 권했다[117]。 그러나 영양학에서는 "음식 찌꺼기"로 여겨져 오랫동안 쓸모없는 것으로 인식되었다.[118]
1960년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조지 오틀은 식이 섬유와 대장암의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 1967년에는 인도의 말호트라가 식이 섬유 섭취가 많으면 암 위험이 줄어든다는 보고를 했다[119]。
1970년 전후, 버킷[120]은 오틀의 연구를 발전시켜 랜싯 등에 연구 보고[121][122]를 발표, 식이 섬유 부족이 장 질환 위험을 높인다는 가설을 널리 알렸다. 1975년에 버킷은 트로웰(Hugh Trowell)과 공저로 『정제 탄수화물과 질병 - 식이 섬유의 영향』[123]을 출판하여, 통곡물의 식이 섬유가 유익하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과학적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124]。
일본에서는 2000년의 "제6차 개정 일본인의 영양 필요량[125]"부터 식이 섬유 섭취 목표량이 설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ietary fibre
https://web.archive.[...]
British Nutrition Foundation
2018
[2]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2005), Chapter 7: Dietary, Functional and Total Fiber
https://archive.org/[...]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ional Agricultural Library and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Institute of Medicine, Food and Nutrition Board
[3]
논문
Dietary fiber and health outcomes: an umbrella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2018-03
[4]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Proposed Definition of Dietary Fiber
http://www.nap.edu/c[...]
Institute of Medicine Press
2001
[5]
서적
Present Knowledge in Nutrition
ILSI Press
2006
[6]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Proposed Definition of Dietary Fiber
https://www.nap.edu/[...]
National Academy Press
2001
[7]
논문
Implications of butyrate and its derivatives for gut health and animal production
2018-06
[8]
서적
The Effect of Dietary Fiber on Fecal Weight and Composition
https://www.crcpress[...]
CRC Press
2001
[9]
논문
Mechanistic insights into consumption of the food additive xanthan gum by the human gut microbiota
2022-04
[10]
웹사이트
Fiber
https://lpi.oregonst[...]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2019-03
[11]
논문
Role of resistant starch in improving gut health, adiposity, and insulin resistance
2015-03
[12]
논문
Effect of psyllium (Plantago ovata) fiber on LDL cholesterol and alternative lipid targets, non-HDL cholesterol and apolipoprotein B: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8-11-01
[13]
논문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the effect of konjac glucomannan, a viscous soluble fiber, on LDL cholesterol and the new lipid targets non-HDL cholesterol and apolipoprotein B
2017-05
[14]
논문
Soluble Fiber Supplementation and Serum Lipid Profile: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23-05-01
[15]
논문
Health effects of resistant starch
[16]
논문
Health benefits of dietary fiber
https://cloudfront.e[...]
2009-04
[17]
논문
Dietary fiber in poultry nutrition and their effects on nutrient utilization, performance, gut health, and on the environment: a review
2021-04
[18]
논문
The gel-forming polysaccharide of psyllium husk (Plantago ovata Forsk)
2004-08
[19]
웹사이트
Search, USDA Food Composition Databases
https://fdc.nal.usda[...]
Nutrient Data Laboratory.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Standard Release 28
2015
[20]
웹사이트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Electronic Code of Federal Regulations
http://ecfr.gpoacces[...]
[21]
웹사이트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Guidelines for Determining Metric Equivalents of Household Measures
https://www.fda.gov/[...]
[22]
논문
Benefits and Harms of the Mediterranean Diet Compared to Other Diets
https://www.ncbi.nlm[...]
2015-11
[23]
웹사이트
Nutrition and healthy eating: Fiber
https://www.mayoclin[...]
Mayo Clinic
2017
[24]
논문
Chemical composition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of prunes: a functional food?
2001-05
[25]
논문
Value of a tomato byproduct as a source of dietary fiber in rats
http://www.kluweronl[...]
[26]
논문
Nutritional therap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1989-09
[27]
논문
Probiotics and prebiotics in chronic inflammatory bowel diseases
2006-10
[28]
논문
Inulin and oligofructose: impact on intestinal diseases and disorders
2005-04
[29]
논문
An oral supplement enriched with fish oil, soluble fiber, and antioxidants for corticosteroid sparing in ulcerative col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05-04
[30]
논문
Intestin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ietary fiber (Plantago ovata seeds) in HLA-B27 transgenic rats
2003-10
[31]
서적
Mechanisms in the Pathogenesis of Enteric Diseases
[32]
논문
Short-chain fatty acids: bacterial mediators of a balanced host-microbial relationship in the human gut
2002-05
[33]
논문
Differential effects of short-chain fatty acids on proliferation and production of pro-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by cultured lymphocytes
2003-08
[34]
논문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out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ing a food and beverage intolerance, food and beverage avoidance diet
2007-01
[35]
논문
Insulin-sensitizing effects on muscle and adipose tissue after dietary fiber intake in men and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2012-09
[36]
논문
Resistant starch from high-amylose maize increases insulin sensitivity in overweight and obese men
2012-04
[37]
논문
Resistant starch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in metabolic syndrome
2010-04
[38]
논문
Effect of resistant starch on fecal bulk and fermentation-dependent events in humans
1995-07
[39]
논문
Amylase-resistant starch plus oral rehydration solution for cholera
2000-02
[40]
논문
Amylase-resistant starch as adjunct to oral rehydration therapy in children with diarrhea
2006-04
[41]
논문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glucose versus amylase resistant starch hypo-osmolar oral rehydration solution for adult acute dehydrating diarrhea
2008-02
[42]
웹사이트
P208. Abnormal fibre utilisation and gut transit in ulcerative colitis in remission: A potential new target for dietary intervention
https://www.ecco-ibd[...]
European Crohn's & Colitis Organization
2016-09-25
[43]
논문
Applications of inulin and oligofructose in health and nutrition
http://www.ias.ac.in[...]
2002-12
[44]
논문
Inulin-type fructan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2007-11
[45]
논문
A combination of prebiotic short- and long-chain inulin-type fructans enhances calcium absorption and bone mineralization in young adolescents
2005-08
[46]
논문
Effects of dietary fibers on magnesium absorption in animals and humans
2003-01
[47]
논문
Dietary inulin affects the expression of intestinal enterocyte iron transporters, receptors and storage protein and alters the microbiota in the pig intestine
2008-03
[48]
논문
Gastrointestinal effects of low-digestible carbohydrates
2009-04
[49]
논문
Fructose malabsorption and symptom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guidelines for effective dietary management
2006-10
[50]
논문
Effects of inulin-type fructans on appetite, energy intake, and body weight in children and adults: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ttps://www.karger.c[...]
2013
[51]
논문
High-fiber diet supplementation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 multicenter, randomized, open trial comparison between wheat bran diet and partially hydrolyzed guar gum (PHGG)
2002-08
[52]
서적
Dietary Fiber
ILSI Press
[53]
논문
High-amylose resistant starch increases hormones and improves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 microarray study
2012
[54]
논문
Review article: dietary fibre-microbiota interactions
2015-07
[55]
논문
Fermentation profiles of wheat dextrin, inulin and partially hydrolyzed guar gum using an in vitro digestion pretreatment and in vitro batch fermentation system model
2013-05
[56]
웹사이트
Foods that spike a patient's blood glucose are not what you think
https://www.ama-ass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20-10-14
[57]
논문
Metabolic effects of dietary fiber consumption and prevention of diabetes
2008-03
[58]
논문
Prior short-term consumption of resistant starch enhances postprandial insulin sensitivity in healthy subjects
2003-05
[59]
논문
Insulin-sensitizing effects of dietary resistant starch and effects on skeletal muscle and adipose tissue metabolism
2005-09
[60]
논문
"[Effects of resistant starch on insulin resista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2007-03
[61]
논문
Dietary fiber: how did we get where we are?
[62]
논문
Scientific Opinion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carbohydrates and dietary fiber
[63]
논문
Are functional foods redefining nutritional requirements?
http://article.pubs.[...]
2008-02
[64]
문서
Gel structure of food biopolymers In: Food Structure, its creation and evaluation
Butterworths, London
[65]
문서
Water Activity: Influences on Food Quality
Academic Press, New York
[66]
논문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that influence physiological function: a model for polymers alo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1992-02
[67]
간행물
The physiological effect of dietary fiber: an update
[68]
간행물
The physiological effect of dietary fiber: an update
[69]
간행물
Lipid digestion and Absorption
[70]
논문
Do viscous polysaccharides slow absorption by inhibiting diffusion or convection?
1988-04
[71]
논문
Effects of dietary fibre on digestive enzyme activity and bile acids in the small intestine
1985
[72]
서적
Fermentation as the principal cause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indigestible food residue
Plenum Press, New York
1983
[73]
논문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dietary fiber: a meta-analysis
1999-01
[74]
논문
Studies on the adsorption of bile salts to non-absorbed components of diet
1968-01
[75]
논문
Taurocholic acid adsorption during non-starch polysaccharide fermentation: an in vitro study
1995-08
[76]
서적
Advanced nutrition and human metabolism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77]
논문
Carbohydrate quality and human health: a series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https://linkinghub.e[...]
2024-08-07
[78]
논문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Dietary Fiber to Improve Blood Pressure Control
https://www.ahajourn[...]
2024-08-07
[79]
논문
Maternal Diet and Gut Microbiota Influence Predisposition to Cardiovascular Disease in Offspring
https://www.ahajourn[...]
2024-08-07
[80]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Macronutrients)
http://www.nap.edu/o[...]
National Academies Press
[81]
서적
Influence of fiber on the ecology of the intestinal flora; In: CRC Handbook of Dietary Fiber in Human Nutri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9-04-22
[82]
논문
Nondigestible carbohydrates and mineral bioavailability
1999-07
[83]
논문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of inulin-type fructans on calcium absorption in the large intestine of rats
2005-11
[84]
논문
Inulin and oligofructose and mineral metabolism: the evidence from animal trials
2007-11
[85]
논문
High and low dietary fiber consumption and cancer risk: a comprehensive umbrella review with meta-meta-analysis involving meta-analyses of observational epidemiological studies
https://www.tandfonl[...]
[86]
논문
Non-genetic factors and breast cancer: an umbrella review of meta-analyses
[87]
논문
Different dietary fibre sources and risks of colorectal cancer and adenoma: a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https://www.cambridg[...]
[88]
논문
Soluble and Insoluble Dietary Fiber Consumption and Colorectal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89]
간행물
Scientific Opinion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carbohydrates and dietary fibre
2010
[90]
웹사이트
Dietary Fibre
https://ec.europa.eu[...]
Joint Research Centre
2019-12-21
[91]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https://www.nap.edu/[...]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21-06-08
[92]
웹사이트
Fiber
https://www.eatright[...]
2019-10-11
[93]
논문
A New Recommendation for Dietary Fiber in Childhood
https://pediatrics.a[...]
2021-06-07
[94]
논문
Trends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by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2021-06-07
[95]
서적
Atherosclerosis: Diet and Drugs
[96]
뉴스
The FDA Will Decide Whether 26 Ingredients Count As Fiber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7-11-19
[97]
문서
Health claims: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that contain fiber, particularly soluble fiber,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http://www.accessdat[...]
Electronic Code of Federal Regulation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8-10-20
[98]
문서
Health claims: fiber-containing grain products, fruits, and vegetables and cancer.
http://www.accessdat[...]
Electronic Code of Federal Regulation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8-10-20
[99]
논문
Protein, fibre and blood pressure: potential benefit of legumes
2008-04
[100]
논문
Water-soluble dietary fibe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2008-05
[101]
웹사이트
What Is Constipation?
http://www.webmd.com[...]
2017-11-19
[102]
논문
30 g of fibre a day: An achievable recommendation?
[103]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Dietary Fiber
http://www.aaccnet.o[...]
2007-05-12
[104]
논문
Colonic health: fermentation and short chain fatty acids
2006-03
[105]
논문
Nondigestible oligo- and polysaccharides (dietary fiber): their physiology and role in human health and food
[106]
논문
Short-chain fatty acids and total parenteral nutrition affect intestinal gene expression
[107]
논문
Short-chain fatty acids: ready for prime time?
2006-08
[108]
논문
Prebiotics, probiotics, and synbiotics affect mineral absorption, bone mineral content, and bone structure
2007-03
[109]
웹사이트
FDA/CFSAN A Food Labeling Guide: Appendix C Health Claims, April 2008
http://www.cfsan.fda[...]
[110]
웹사이트
Soluble Fiber from Certain Foo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Electronic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Food and Drugs, part 101: Food Labeling, Subpart E, Specific Requirements for Health Claims, 101.81
http://ecfr.gpoacces[...]
[111]
웹사이트
Petition for a Health Claim for High-Amylose Maize Starch (Containing Type-2 Resistant Starch) and Reduced Risk Type 2 Diabetes Mellitus (Docket Number FDA2015-Q-2352)
https://www.fda.gov/[...]
Office of Nutrition and Food Labeling,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6-12-12
[112]
웹사이트
FDA unveils dietary fibers guidance: Good news for inulin, polydextrose, some gray areas remaining
https://www.foodnavi[...]
FoodNavigatorUSA.com
2018-06-14
[113]
간행물
発酵性食物繊維としてのフラクトオリゴ糖の医療用食品への適用
https://doi.org/10.1[...]
[114]
간행물
炭水化物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6-07-22
[115]
서적
食物科学のすべて
建帛社
[116]
서적
Autointoxication
[117]
서적
ケンブリッジ世界の食物史大百科事典
https://iss.ndl.go.j[...]
朝倉書店
[118]
서적
栄養之合理化
愛知標準精米普及期成会
[119]
논문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gastrointestinal cancers in India with special reference to causation
https://doi.org/10.1[...]
[120]
웹사이트
DENIS BURKITT
http://understanding[...]
University College, Cork
[121]
논문
Related disease--related cause?
1969-12-06
[122]
논문
Epidemiology of cancer of the colon and rectum.
1971-07
[123]
서적
Refined Carbohydrate Foods and Disease: Some Implications of Dietary Fibre
[124]
논문
Whole Grains and Health: An Overview
http://www.jacn.org/[...]
[125]
웹사이트
第6次改定日本人の栄養所要量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126]
논문
花らっきょうと乳酸菌
https://doi.org/10.4[...]
[127]
논문
海藻の食物繊維に関する食品栄養学的研究
https://doi.org/10.2[...]
[128]
서적
食物繊維の科学
朝倉書店
[129]
웹사이트
繊維/その他の分類体系
https://lpi.oregonst[...]
Linus Pauling Institute (微量栄養素情報センター)
[130]
논문
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の開発
日本応用糖質科学会
2006-01-20
[131]
논문
食物繊維の構造と機能
https://doi.org/10.1[...]
[132]
서적
カルシウムの吸収・代謝と骨の健康
放送大学テキスト
[133]
웹사이트
特定保健用食品の製品情報
contents/sp_health.p[...]
国立栄研健康食品
[134]
간행물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https://www.fao.org/[...]
[135]
논문
Constipation: Is there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https://doi.org/10.3[...]
Taylor & Francis
[136]
서적
Food,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the Prevention of Cancer: A Global Perspective
http://wcrf.org/int/[...]
Amer. Inst. for Cancer Research
[137]
웹사이트
"Feeling a little lost?" / Health Effects of Eating Fiber
http://www.hsph.harv[...]
[138]
간행물
食物繊維摂取量およびグライセミック・インデックス(GI)と肥満度との関連:18~20歳の女子学生3931人の横断研究
http://www.nutrepi.m[...]
[139]
논문
食品の違いによる食後血糖への影響
https://gijodai.jp/l[...]
岐阜女子大学
2003
[140]
논문
食物繊維の構造と機能 (1) 化学構造と分析法
https://doi.org/10.1[...]
[141]
논문
Ann. Intern. Med., 80, 20 (1977)
[142]
논문
グルコマンナン、プルランならびにセルロースの血糖上昇抑制効果の比較
https://doi.org/10.4[...]
[143]
논문
alginolyticus SUN53によるアルギン酸小分子分解物のラット小腸粘膜二糖類水解酵素に対する阻害作用
https://doi.org/10.1[...]
[144]
논문
米飯の熱特性、感覚特性とグリセミックインデックスに及ぼす寒天の影響
https://doi.org/10.1[...]
[145]
논문
ジャンボリーキが病態モデルラットへの血糖値および肝機能に及ぼす影響について
https://doi.org/10.3[...]
[146]
논문
Effects of high performance inulin supplementation on glycemic control and antioxidant status in women with type 2 diabetes.
http://www.ncbi.nlm.[...]
[147]
논문
大麦の生理作用と健康強調表示の現況
https://doi.org/10.5[...]
[148]
논문
食物繊維の保健効果
https://doi.org/10.1[...]
[149]
논문
腸管環境と心血管病
https://doi.org/10.1[...]
[150]
간행물
Hydrogen from intestinal bacteria is protective for Concanavalin A-induced hepatitis
[151]
간행물
ダイオキシン類の排泄促進に関する研究 : 平成10年度厚生科学研究(生活安全総合研究事業)研究報告書
https://mhlw-grants.[...]
厚生科学研究費補助金 健康安全確保総合研究分野 生活安全総合研究事業
1999-03
[152]
웹사이트
五訂増補日本食品標準成分表
http://www.mext.go.j[...]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